728x90
[거덜과 피맛길 ]
"저 사람 거덜 났다"
소비가 심하여 경제적으로 곤란한 사람을
지칭하는 말이다.
거덜은 조선시대에 말(馬)을 관리하던 관청인 사복시(司僕侍)의 하인(下人)이다.
거덜은 귀인의 행차가 있을 때
그에 앞서가며 길을 틔운다.
지체 높은 자의 곁에서 “쉬~ 물렀거라” 권마성(勸馬聲)을 외치는 거덜은
길거리에서 온갖 악행을 일삼았다.
백성들은 관리들이 지나갈 때마다
고개를 숙여 예를 갖춰야 했다.
먹고살기 바쁜데
거덜의 발길질까지 감수하며....!!
그래서 생겨난 것이 피맛길!
구불구불하지만 지저분한 뒷골목이
백성들에겐 더 마음 편했던 모양이다.
‘피맛길’은 높은 사람의 말을 피한다
(피마 避馬)는 뜻이지만
사실은 앞장서서 거들먹거리는 '거덜'을 피하는 것이었다.
거덜들의 횡포가 심하여 그들에게 착취당했을 때 '거덜 났다'라고도 표현한다.
기록에 의하면
'거덜'의 관직상 명칭은 견마배(牽馬陪)로
종 7품의 잡직이다.
피맛길은 지금 종로의 먹자골목으로
여전히 서민의 애환이 남아있다.
거덜은 관료를 섬기고
관료는 임금을 섬기고
임금은 백성을 섬긴다는데
백성은 거덜에게 얻어터진다?
종 7품 잡직 견마배... 거덜
너 정체가 뭐야?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ILKr5/btsCynkcz2p/LbIOSSacRFohrWfhGYDiSK/img.jpg)